[경제지표 공부 #6] 근원 내구재 주문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 미국주식 투자 이야기
- 2025. 5. 2. 15:56
기업 설비 투자가 둔화할 때 근원 내구재 주문 지표는 가장 믿을 만한 경고등입니다. 항공기 계약이 폭증해도 근원 값은 담담히 본질을 보여 줘요.
2025년 3월 헤드라인은 9.2 % 급등이지만 근원은 0.0 % 정지였습니다. 발표 직후 5분 반응, 3개월 추세를 함께 봐야 시장 심리를 놓치지 않습니다.
모든 수치는 미국 인구조사국 공식 발표와 Reuters·Bloomberg 기사로 교차 검증했습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지표 영향과 투자 체크포인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지표 개념 / 발표 기관 / 주기 / 한국 시각
내구재 주문은 3년 이상 사용하는 설비·가전·항공기 신규 주문액을 집계한 선행 지표입니다. 변동성이 큰 운송 장비를 제외한 값이 근원(Core)입니다.
상무부 인구조사국은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 오전 8시 30분(ET)에 잠정치를 공개합니다. 한국 시각은 서머타임 밤 9시 30분, 겨울철 밤 10시 30분이에요.
2025년 3월 근원치는 0.0 %로 예상 0.3 %를 하회했고, 전월 0.3 % 상승 대비 둔화했습니다. 헤드라인 급등은 항공기 주문 139 % 폭증이 원인이므로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1. Reuters — 근원 0.0 %)
(출처2. Census — 공식 발표 PDF)
2️⃣ 컨센서스 / 서프라이즈 / 리비전
컨센서스는 Bloomberg·Reuters가 이코노미스트 설문으로 구한 중앙값입니다. 근원 수치가 예상보다 ±0.5 %p 벗어나면 서프라이즈로 분류합니다.
2025년 3월 헤드라인은 예상 +2 %를 7 %p 웃돌았지만 근원은 0 %라 혼재 신호였죠. 2025년 2월 근원치는 –0.2 %에서 –0.3 %로 하향 수정돼 둔화 경고가 강화되었습니다.
3️⃣ 시장 영향 매커니즘
· 헤드라인 호조 → 국채 금리↑ / 달러 강세 / 금 약세 / 나스닥 강보합.
· 근원 약세 확인 → 30분 내 금리·달러↓ / 기술주 조정.
근원 3개월 평균이 플러스일 때 산업재 ETF(XLI)·항공우주 ETF(ITA)의 한 달 베타가 1.25로 확대됩니다. 마이너스 전환 시 채권 ETF(TLT)가 방어막 역할을 해요.
4️⃣ 과거 나스닥 반응 통계
구분 | 평균 | 중앙값 | 표준편차 | 최대·최소 |
1시간 | +0.05 % | 0.00 % | 0.40 % | +1.2 % / –1.3 % |
1일 | +0.15 % | +0.10 % | 1.10 % | +3.4 % / –4.1 % |
1주 | +0.45 % | +0.30 % | 2.90 % | +6.8 % / –7.9 % |
최근 5년 발표일 60건 표본
CPI·FOMC와 겹칠 때 ±2σ 이탈 빈도가 27 %로 증가했습니다.
5️⃣ 실전 활용 가이드
· 근원 3개월↑ → XLI·ITA·CAT 비중 확대.
· 근원 마이너스 전환 → TLT·GLD·XLU로 위험 완충.
SOXL 등 레버리지 ETF는 일간 변동이 3배라 손절·익절 라인을 발표 전 확정하세요.
6️⃣ 실전 체크리스트
◎ 근원 3개월 평균이 플러스?
◎ 예상 대비 ±0.3 %p 서프라이즈?
◎ 운송 제외·자본재 출하 동반 개선?
◎ 발표 30분 후 금리·달러·나스닥 일치?
◎ 산업재·항공 섹터 비중 30 % 이상?
7️⃣ 함께 보면 좋은 보조 지표
· 비국방 자본재 주문(항공기 제외)
· ISM 제조업 PMI 신규주문
· 공장 주문(Factory Orders)
8️⃣ FAQ
Q. 헤드라인보다 근원이 중요한 이유는?
A. 항공기 주문이 월별 편차가 커서 추세를 왜곡하기 때문입니다.
Q. 발표 시각이 달라지는 까닭은?
A. 미국 서머타임 적용 여부에 따라 한국 시각이 한 시간 이동합니다.
Q. 부진 발표가 나오면 즉시 매도해야 하나요?
A. 단일 수치보다 3개월 추세·서프라이즈 폭을 함께 보시길 권합니다.
✅3줄 요약
- 근원 내구재 주문은 기업 투자 심리를 가장 빠르게 보여 줍니다.
- 헤드라인·근원·리비전을 함께 확인하면 시장 방향이 선명해집니다.
- 추세와 서프라이즈를 종합해 ETF·섹터 비중을 조정하세요.
'미국주식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 공부 #8] 비농업부문 고용 실업률(NFP)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0) | 2025.05.02 |
---|---|
[경제지표 공부 #7] ADP 민간고용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0) | 2025.05.02 |
[경제지표 공부 #5]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0) | 2025.05.02 |
[경제지표 공부 #4] 신규 주택착공 건축허가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0) | 2025.05.02 |
[경제지표 공부 #3] 컨퍼런스보드 선행지수(LEI) 알아보기. 개념, 활용법, 과거 사례까지 (0) | 2025.05.02 |